반응형 [Cloud & Infrastructure]/[AWS]25 [AWS] 스냅샷의 작동 방식 및 실제 크기 구하기 AWS에서는 EBS볼륨에 대한 스냅샷(Snapshot)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스냅샷의 작동 방식 / 생성 / 실제 스냅샷이 가지고 있는 데이터의 크기 계산을 통해 스냅샷의 비용까지 계산해보는 내용에 대한 글을 포스팅을 해보려고한다.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보자! 스냅샷의 작동 방식 스냅샷의 작동 방식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제일 먼저 알아야 할 가장 중요한 개념은 스냅샷은 "증분식"으로 작동한다는 사실이다. 증분식이란 동일한 볼륨에 대해 여러개의 스냅샷을 생성하는 경우 가장 최신의 스냅샷(마지막 스냅샷)은 이전의 스냅샷이 가진 데이터에서 변경된 부분만 가지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조금 더 정확한 이해를 돕기 위한 그림 및 공식 문서를 첨부한다. AWS 공식 문서 - 스냅샷 작동 방식 [동일한.. 2023. 3. 25. [AWS] Terraform으로 AWS 리소스 프로비저닝하기 [2/2] 지난번 포스팅에서 테라폼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에 대해 다뤄봤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AWS 리소스를 테라폼을 사용해서 프로비저닝 하는 법을 알아보겠다. STEP 1 - AWS 계정 설정 AWS 계정 생성 및 활성화 Support 플랜을 선택한 후에는 확인 페이지에 계정이 활성화 중이라고 표시됩니다. 계정은 대부분 대개 몇 분 내에 활성화되지만 프로세스에는 최대 24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이 시간 동안 AWS aws.amazon.com 위 페이지에서 AWS 계정을 생성한다. 처음에 계정을 생성하게 되면 Root(루트)계정이 생성된다. 루트 계정에서 액세스 키를 발급받고 이후 과정을 진행해도 되지만, 루트 계정에서 엑세스 키를 발급받아 직접 사용하는것은 권장하지 않는다. 권장방법으로 IAM 사용자를 생성하.. 2022. 7. 17. [AWS] Terraform으로 AWS 리소스 프로비저닝하기 [1/2] 날씨도 덥고 이것저것 준비할게 많아서 공부도 잘되지 않는 요즘 AWS 자격증 공부를 하며 알게된 오프소스 서비스가 있다. 바로 'Terraform' 이다. 오늘은 가볍게 'IaC 도구' 인 'Terraform'에 대해 포스팅해보겠다. Terraform(테라폼) Terraform is an open-source infrastructure as code software tool that provides a consistent CLI workflow to manage hundreds of cloud services. Terraform codifies cloud APIs into declarative configuration files. 쉽게 말해, 테라폼은 IaC를 지향하는 도구로써, GUI나 웹 콘솔을 사용.. 2022. 7. 15. [AWS] AWS 3Tier(3 티어) 구축하기 AWS SAA - CO2 공부를 하며 AWS로 3 티어를 구축하는 부분에 대해 공부할 기회가 생겼다. AWS 3티어를 알기 전에 웹 3 티어에 대해 먼저 이해하고 넘어가자 WEB Application - 3 Tier Architecture 3 - tier architecture는 모든 계층이 3개의 논리적 및 물리적 컴퓨팅 계층으로 구성하는 잘 정립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입니다. 위의 그림 처럼 프레젠테이션 계층, 데이터가 처리되는 logic 계층, 그리고 데이터가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 계층으로 이루어진 3 계층 아키텍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주요 장점은 각 계층이 자체 인프라에서 실행되기 때문에 각 계층 별로 별도의 개발 팀에 의해 동시에 개발될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 2022. 7. 2. [AWS] AWS 프리티어 계정에 뜻하지 않은 과금 발생😯 지난 프로젝트 진행 중 EKS를 사용하여 배포를 진행했었다. 오늘은 프로젝트 배포 과정 중 내 실수로 과금이 발생한 과정과 이를 해결한 경험을 공유해볼까 한다. 사건의 발단 및 요약 사건의 발단은 프로젝트 배포 과정 중 AWS-CLI를 사용한 것이었다. 보통 AWS 서비스를 사용할 때 2가지 방법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첫 번째는 AWS 웹페이지의 콘솔 창을 이용해서 GUI 환경을 통해 쉽게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이다. 하지만 매번 매니지먼트 콘솔 창과 개발 환경을 번갈아가며 사용하는 것이 번거롭기 때문에 AWS는 CLI환경에서 명령어를 통해 서비스를 통합 제어 가능하도록 지원해준다. AWS-CLI에 관한 설명 및 설치 방법이다. AWS 명령줄 인터페이스 aws-shell은 명령줄 셸 프로그램으로서, AWS.. 2022. 6. 11. [AWS] Local 환경에서 AWS CLI 사용하기 AWS CLI(Command-Line Interface)란? AWS CLI(명령줄 인터페이스)는 AWS 서비스를 관리하는 통합 도구입니다. 도구 하나만 다운로드하여 구성하면 여러 AWS 서비스를 명령줄에서 제어하고 스크립트를 통해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AWS CLI 시작하기 사전 조건 1) AWS 가입하기 - AWS에 가입하여 Root 계정을 생성합니다. 2) IAM 사용자 계정 생성 - 생성한 Root 계정으로 로그인한 후 IAM 콘솔로 들어가 IAM 사용자를 만들어 줍니다. 과정: 사용자 이름 - Administrator 그룹생성 - Administrators 정책 - AdministratorAccess 3) IAM 사용자의 액세스 키 ID 및 보안 액세스 키 생성 & 저장 - IAM 사용자를 만들.. 2022. 3. 27. [AWS] AWS Lambda 시작하기 Lambda란? Lambda는 서버를 프로비저닝 하거나 관리하지 않고도 코드를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컴퓨팅 서비스입니다. Lambda는 고가용성 컴퓨팅 인프라에서 코드를 실행하고 서버와 운영 체제 유지 관리, 용량 프로비저닝 및 자동 조정, 코드 및 보안 패치 배포, 코드 모니터링 및 로깅 등 모든 컴퓨팅 리소스 관리를 수행합니다. Lambda를 사용하면 거의 모든 유형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백엔드 서비스에 대한 코드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Lambda가 지원하는 언어 중 하나로 코드를 공급하기만 하면 됩니다. 출처: AWS Lambda 개발자 안내서 최근 클라우드 컴퓨팅 부문에서 가장 주목받는 용어 중 하나가 '서버리스 컴퓨팅(serverless computing)'입니다. 서버리스란 물리적인 서버가 .. 2022. 3. 21. [AWS] VPC 시작하기 (3/3) 개요 저번 포스팅을 통해 VPC가 어떻게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인터넷과 연결되는지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인터넷과 연결된 순간 트래픽에 대한 제어와 통제 , 확인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VPC의 트래픽을 통제하고 제어하는 서비스와 트래픽의 흐름을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해당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들은 Security Group, Network ACL, VPC Flow Logs로 총 3가지입니다. Network ACL : Route table 아래 자물쇠가 채워진 첫 번째 상자입니다. subnet을 오가는 트래픽을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Security Group: 두 번째 상자는 subnet 내부에 위치한 security group입니다. subnet 내 인스턴스의.. 2022. 3. 20.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