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EC211

[AWS] Amazon EC2 Spot 완벽 가이드 금일 포스팅을 통해서 EC2 Spot 인스턴스의 작동 방식, 생성, 관리 및 모니터링 등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 보려고 한다. 해당 포스팅을 통해서 Spot 인스턴스에 대한 자세한 사용 방법을 공유 한다.  1. EC2 인스턴스 가격 옵션 On-Demand: 언제든지 사용가능한 대신 사용한 만큼의 시간당 요금 지불Reserved: 할인된 시간당 요금과 용량 예약(선택 사항)을 제공Spot: EC2 여유 용량을 최대 90% 할인된 가격으로 사용2. Spot 인스턴스 작동 방식기본 작동 원리- Spot 인스턴스는 AWS의 미사용 EC2 용량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AWS가 가진 EC2 인스턴스의 여유 가용 용량은 실시간으로 변동하며, 이에 따라 Spot 가격도 동적으로 조정됩니다. 스팟 인스턴스 중단.. 2025. 2. 16.
[AWS] EC2 Spot Fleet : 비용 효율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활용하기 1. Spot Fleet이란? AWS Spot Fleet은 사용자가 지정한 기준에 따라 Spot 인스턴스와 온디맨드 인스턴스의 집합을 자동으로 요청하고 관리하는 서비스입니다. Spot Fleet을 사용하면 목표 용량을 설정하고, 다양한 인스턴스 유형과 가용 영역에 걸쳐 워크로드를 유연하게 실행할 수 있습니다. Spot Instance vs Spot FleetSpot Instance: 개별 인스턴스 단위로 요청 및 관리Spot Fleet: 여러 인스턴스 유형과 가용 영역에 걸쳐 자동으로 관리2. Spot Fleet의 주요 구성 요소(*옵션)2-1. 할당 전략최저 가격(*lowestPrice)가장 낮은 가격의 인스턴스 풀에서 인스턴스를 시작비용 최적화가 최우선 순위인 워크로드에 적합단일 풀에 집중되어 가용성.. 2025. 1. 31.
[Network] Linux Network Management 오늘 포스팅할 글의 주제는 "Linux Network Management"와 관련된 글이다.  최근 들어 서비스의 환경이 복잡해지며, OS의 네트워크 환경을 이해하는 것이 더욱 더 중요해졌다.  따라서 해당 포스팅을 통해 Linux OS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환경 / 흐름 / 제어에 관련된 내용을 정리하고 살펴보는 시간을 갖으려고 한다.  1. Structure and Checking from Layer 1 to Layer 7 위 그림은 Linux OS에 대한 여러 요소에 대한 성능 측정 시 사용될 수 있는 Tool(*도구)를 정리한 것이다. 해당 포스팅에서는 빨간색으로 강조한 부분인 "Net Device", "IP", "TPC/UDP", "Sockets" 등과 관련된 부분에 대하여 다룰 예정이다.  2... 2024. 10. 13.
[AWS] EC2 Instance Connect 엔드포인트 EC2 Instance Connect 엔드포인트를 사용하면 인스턴스에 퍼블릭 IP 주소가 할당되어 있지 않아도 SSH 연결을 통해 접속이 가능하다. 보통 "퍼블릭 IP" 가 할당되어 있지 않은 Private 서브넷에 존재하는 인스턴스에 대해 VPN 구성 또는 Bastion 인스턴스를 통해 접속하는 방식으로 SSH 연결을 진행하여 인스턴스에 접속한다. 이렇듯 Private 서브넷에 존재하는 인스턴스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연결 구성을(*Bastion 호스트등) 별도로 구성 해야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지난 2023년 AWS에서 EC2 Instance Connect 엔드포인트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더 이상 Pirvate 서브넷에 존재하는 인스턴스에 접속하기 위하여 Bas.. 2024. 4. 14.
[AWS] EC2 Auto Scaling 그룹에 속한 인스턴스를 Reboot(재부팅) 또는 중지 하는 방법 EC2 인스턴스를 사용하다 보면 인스턴스의 상태가 "인스턴스 상태 확인 실패" 로 전환 될 때가 있다. 주로 인스턴스의 OS 내에서 발생한 장애로 "인스턴스 상태 확인 실패"가 발생하게 되는데 원인을 알기 위해서는 인스턴스의 상태를 재부팅(Reboot)을 시도하여 복구하거나 또는 복구 인스턴스를 통해 문제가 발생한 인스턴스의 루트 볼륨을 장착하여 시스템 로그를 확인, 분석 하하여 진행하는 방법이 있다. 이렇듯 인스턴스를 사용하다 보면 어떠한 이유로 인스턴스를 재부팅 또는 중지해야 하는 상황이 존재할 수 있는데, 인스턴스가 Auto Scaling Group(ASG)에 존재하는 경우에 위의 작업(재부팅, 루트 볼륨 탈착을 위한 인스턴스 중지)을 진행할 시 진행 과정 동안 상태 확인에 실패하여 EC2 Auto.. 2024. 3. 3.
[Network] & [AWS] EC2 인스턴스의 네트워크 처리량 벤치 마킹하기 Contents 1. 벤치마크의 목적 2. 벤치마크 Tool - iperf3 3. 네트워크 테스트 환경 구현 4. 네트워크 테스트 진행 5. 결과 분석 Amazon EC2 인스턴스는 유형별 상이한 네트워크 처리량(throughput)를 지원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동일한 AWS VPC에 위차한 인스턴스간의 네트워크 처리량" 벤치마크를 진행하고 이를 분석해보려고 한다. 먼저 목차를 먼저 설명하고 진행해보겠다. 1. 벤치마크의 목적 동일한 VPC내에서 인스턴스간의 네트워크 워크로드를 구성할때 "인스턴스에서 지원되는 네트워크 성능"을 확인하는 단계에서 해당 벤치마크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VPC내에서의 네트워크 성능과 Internet Gateway 등을 통한 서로 다른 VPC 에서의 성능 평가.. 2023. 8. 23.
[AWS] EC2에서 루트볼륨교체 사용해보기 OS 볼륨에 문제가 있어서 인스턴스가 정상 작동하지 않는다면 매우 난감하다. 이러한 경우 AWS에서 제시하는 방법으로, 새로운 복구 인스턴스(Rescue Instance)를 생성하여 문제의 루트볼륨을 데이터 볼륨으로 마운트한 뒤 루트 볼륨의 OS로그를 분석하여 해결하는 방법이 있다. * Why is my EC2 Linux instance not booting and going into emergency mode? -> https://repost.aws/knowledge-center/ec2-linux-emergency-mode 인스턴스가 정상적으로 부팅이 되지 않는 현상에 대해 원인 분석을 위해서는 위의 방법을 통해 OS로그를 살펴보고, 문제점을 파악한 후 수정하는것이 옳은 방법이다. 하지만 급하게 인스턴.. 2023. 5. 6.
[Linux] SSH 접속에 대한 이해 서버에 원격으로 접속할 때, 외부의 보안 위협으로부터 안전하게 접속하려면 'SSH'라는 보안 방식을 적용해서 접속해야 한다. 그렇다면 SSH란 정확히 무엇일까? 이번 포스팅에서는 SSH의 개념과 SSH-keygen을 사용하여 키 페어를 만들어 원격 서버에 접속하는 방법을 포스팅해보겠다. SSH 란?? SSH란 Secure Shell의 줄임말로, 원격 호스트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보안 프로토콜이다. (*Shell이란 명령어와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 쓰는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좀 더 자세하게 표현하자면 커널과 사용자를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가 명령어를 입력하면 해석해서 커널로 옮겨 실행하는 역할을 해주는 것이다.) 기존 원격 접속은 Telnet이라는 방식을 사용했는데, 암호화를 제공하지 않기 때.. 2022. 10.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