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loud & Infrastructure]

[Network] IP주소와 서브넷 마스크

by 코드몽규 2022. 2. 26.
반응형

IP 주소

 IP주소는 A, B, C 클래스로 나뉜다. 사실 D, E 클래스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앞서말한 3개의 클래스를 더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A, B, C 클래스에 대해 다루어 보겠다. 

이미지1

P주소는 네트워크ID, 호스트 ID 이렇게 2개로 나뉘는데 

각각의 A,B,C클래스들은 다음과 같이 ***.***.***.*** 의 형태에서 네트워크 ID, 호스트 ID를 갖는다.

*네트워크 ID: 네트워크 ID가  같다면 같은 네트워크에 있다는 의미이다.

*호스트 ID : 호스트 ID는 그 네트워크에 속한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번호를 말한다.

이미지2

 

이제 서브넷마스크에 대해 알아보자 

 

이미지를 보면 서브넷 마스크가 255.255.255.0의 형태로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럼 255는 무슨뜻일까? 255를 이진수로 표현하면 11111111이며 여기서 1은 IP를 받고 있다는 뜻입니다.

즉, 255로 표시된 곳이 네트워크 ID라는 뜻이며 서브넷 마스크가 세 번째 자리까지 255로 나오고 있으니 

외부 IP의 주소 또한 세번째 자리까지가 네트워크 ID입니다.

 

그러면 자연스럽게 마지막 네번째 자리가 호스트 ID인 것을 알 수 있다.

 

잠깐!! 115로 시작하는 외부 IP주소는 A 클래스 주소로써 분명 115에 해당하는 부분이 네트워크 ID라고 알고 있는데!?

 

여기서 서브넷 마스크의 활용 용도가 나오는것이다! 바로 서브넷 마스크의 범위를 변경해줌으로써 

 

관리자의 필요대로 호스트ID의 범위를 조절해주는 것이다. 

 

이것을 "서브넷팅"이라고 한다.

 


자 그럼 좀 더 자세한 예로 공유기의 IP주소를 확인해보자

 

공유기는 DHCP서버가 있어서 내부에서 사설 IP를 만들어준다.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네트워크 안에 컴퓨터에 자동으로 네임 서버 주소, IP주소, 게이트웨이 주소를 할당해주는 것을 의미하고, 

해당 클라이언트에게 일정 기간 임대를 하는 동적 주소 할당 프로토콜입니다.)

서브넷 마스크가 255.255.255.0 형태로 세 번째까지 네트워크 ID인 것을 확인 가능하다.

또한 내부 IP주소 192.168.0 또한 네트워크 ID인 것을 확인 가능하다.

 

여기서 그럼 공유기 1대를 공유기 3대와 연결하여 공유기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들을 연결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우선 내부 IP에서 192.168.1 ~ 3까지의 IP를 할당하여 구분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구분한 ROOM들을 모두 연결해주려면 공유기의 192.168.0부터 ROOM3의 192.168.3을 할당함으로써

0,1,2,3 총 4개의 숫자가 필요하다.

 

이때 서브넷 마스크를 건드려주면 해결이 가능하다. 

내부 IP주소의  세 번째 자리를 건드렸으니 서브넷마스크의 주소 세번째 자리를 필요한 수만큼 열어주면 되는 것이다.

10진수로 4는 00000100이므로 255인 11111111에서 2비트를 빼준 11111100(252)으로 주소를 변경해주자

최종적으로 255.255.252.0으로 설정한다!

 

오늘은 IP의 기본개념과 서브넷 마스크 개념에 대해 알아보았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