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볼륨2 [Linux] 디스크, 파티션,볼륨 그리고 AWS EBS 볼륨 탑재하기 Linux를 다루다 보면 디스크, 파티션 그리고 볼륨이라는 단어를 많이 듣는다. 실제로 혼동하기 쉬운 개념이며 정확하게 알고 구분하여 알아야 하는 내용이라 정리해보려 한다. 또한 AWS EBS를 기준으로 실제 디스크를 파티셔닝하고 마운트 하는 과정부터 LVM을 활용하여 볼륨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까지 정리한 포스팅이다. 디스크(Disk) - 디스크는 일반적으로 서버에 장착되어 있는 물리적인 저장장치를 의미한다. 옛날에는 HDD가 주로 사용되었을 때는 HDD를 의미하기도 했지만, 최근에는 SSD, NVME 심지어 가상 디스크도 디스크라고 부르고 있다. 파티션(Partition) - 파티션은 물리적인 저장장치를 사용할 목적에 따라 구역을 나눈것이다. 디스크를 하나의 집이라고 생각하면 파티션은 여러 개의 .. 2022. 10. 3. [kubernetes] 쿠버네티스의 스토리지 관리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스토리지 관리 1. 파드 내부의 각 컨테이너는 고유하게 분리된 파일시스템을 가진다. 2. 컨테이너의 파일 시스템은 컨테이너 이미지에서 제공되기 때문에 컨테이너가 재 시작할 때마다 컨테이너 이미지내의 파일시스템으로만 시작한다. 3. 재 시작된 컨테이너는 이전 컨테이너에 쓰여진 파일시스템의 내용을 볼 수 없다. 컨테이너는 원본 이미지로만 재 시작된다. 4. 스토리지 볼륨은 파드와 동일한 라이프 사이클을 가진다. 이는 파드가 시작되면 볼륨이 생성되고 파드가 삭제되면 볼륨이 삭제된다는 의미를 가지므로 볼륨의 컨텐츠는 컨테이너를 다시 시작해도 지속된다. 5. 파드내의 모든 컨테이너가 볼륨을 공유할 수 있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스토리지 컴포넌트 볼륨 관리 1. 볼륨(volume)은 파드의 컨테.. 2022. 4. 1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