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at2 [AWS] VPC 시작하기 (2/3) 이번 포스팅에서는 VPC에서의 서브넷(subnet)과 routing table, internet gateway, NAT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Routing table 라우팅 테이블(Routing table)이란 네트워크 상의 특정 목적지까지의 거리와 가는 방법 등을 명시하고 있는 테이블입니다. 라우터는 어떤 목적지를 찾아갈때 이 라우팅 테이블을 보고 찾아가게 됩니다. 쉽게 말하면 라우터가 여러 가지 정보를 종합해서 얻어낸 네트워크에 대한 지도를 라우팅 테이블이라고 합니다. 라우팅 테이블의 구성도 이렇듯 라우팅 테이블은 local server에서 또 다른 subnet을 가지는 remote server와 통신하기 위해서 필요합니다. vpc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vpc 내에는 subnet이 있으며 각 su.. 2022. 3. 20. [Network] NAT 란 무엇인가? NAT란 무엇인가? NAT란 Network Address Translation의 약자로 하나의 공인 ip를 여러 개의 사설 ip로 변환하는 시스템이다. 아니 그럼 도대체 멀쩡한 공인IP를 두고 왜 NAT를 쓰는 거지?? 바로 우리가 쓰는 공인 IP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그럼 왜 부족한데? 현재 우리는 ***.***.***.***형태의 IPv4형태의 주소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8개의 연속적인 비트 집합을 의미하는 옥텟이 4개가 모여 이루어져 있는 구조이다. 즉, 2^32=4,294,967,296 개로 약 43억 개의 공인 ip주소가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어? 43억 개 정도면 충분하지 않을까 싶었지만 놀랍게도 부족하다고 한다! 당장 전 세계의 노트북, 컴퓨터, 서버, 스마트폰, 태블릿 등 인터넷이 가.. 2022. 2. 2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