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07

[AWS] Terraform으로 AWS 리소스 프로비저닝하기 [2/2] 지난번 포스팅에서 테라폼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에 대해 다뤄봤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AWS 리소스를 테라폼을 사용해서 프로비저닝 하는 법을 알아보겠다. STEP 1 - AWS 계정 설정 AWS 계정 생성 및 활성화 Support 플랜을 선택한 후에는 확인 페이지에 계정이 활성화 중이라고 표시됩니다. 계정은 대부분 대개 몇 분 내에 활성화되지만 프로세스에는 최대 24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이 시간 동안 AWS aws.amazon.com 위 페이지에서 AWS 계정을 생성한다. 처음에 계정을 생성하게 되면 Root(루트)계정이 생성된다. 루트 계정에서 액세스 키를 발급받고 이후 과정을 진행해도 되지만, 루트 계정에서 엑세스 키를 발급받아 직접 사용하는것은 권장하지 않는다. 권장방법으로 IAM 사용자를 생성하.. 2022. 7. 17.
[AWS] Terraform으로 AWS 리소스 프로비저닝하기 [1/2] 날씨도 덥고 이것저것 준비할게 많아서 공부도 잘되지 않는 요즘 AWS 자격증 공부를 하며 알게된 오프소스 서비스가 있다. 바로 'Terraform' 이다. 오늘은 가볍게 'IaC 도구' 인 'Terraform'에 대해 포스팅해보겠다. Terraform(테라폼) Terraform is an open-source infrastructure as code software tool that provides a consistent CLI workflow to manage hundreds of cloud services. Terraform codifies cloud APIs into declarative configuration files. 쉽게 말해, 테라폼은 IaC를 지향하는 도구로써, GUI나 웹 콘솔을 사용.. 2022. 7. 15.
[AWS] AWS 3Tier(3 티어) 구축하기 AWS SAA - CO2 공부를 하며 AWS로 3 티어를 구축하는 부분에 대해 공부할 기회가 생겼다. AWS 3티어를 알기 전에 웹 3 티어에 대해 먼저 이해하고 넘어가자 WEB Application - 3 Tier Architecture 3 - tier architecture는 모든 계층이 3개의 논리적 및 물리적 컴퓨팅 계층으로 구성하는 잘 정립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입니다. 위의 그림 처럼 프레젠테이션 계층, 데이터가 처리되는 logic 계층, 그리고 데이터가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 계층으로 이루어진 3 계층 아키텍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주요 장점은 각 계층이 자체 인프라에서 실행되기 때문에 각 계층 별로 별도의 개발 팀에 의해 동시에 개발될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 2022. 7. 2.
[AWS] AWS 프리티어 계정에 뜻하지 않은 과금 발생😯 지난 프로젝트 진행 중 EKS를 사용하여 배포를 진행했었다. 오늘은 프로젝트 배포 과정 중 내 실수로 과금이 발생한 과정과 이를 해결한 경험을 공유해볼까 한다. 사건의 발단 및 요약 사건의 발단은 프로젝트 배포 과정 중 AWS-CLI를 사용한 것이었다. 보통 AWS 서비스를 사용할 때 2가지 방법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첫 번째는 AWS 웹페이지의 콘솔 창을 이용해서 GUI 환경을 통해 쉽게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이다. 하지만 매번 매니지먼트 콘솔 창과 개발 환경을 번갈아가며 사용하는 것이 번거롭기 때문에 AWS는 CLI환경에서 명령어를 통해 서비스를 통합 제어 가능하도록 지원해준다. AWS-CLI에 관한 설명 및 설치 방법이다. AWS 명령줄 인터페이스 aws-shell은 명령줄 셸 프로그램으로서, AWS.. 2022. 6. 11.
Django + ReactJS를 이용한 프로젝트 만들기 [2/2] 프로젝트 회고록의 2번째 포스팅이다. 이전 포스팅에서는 프로젝트의 전체적인 설정을 구성하고 django로 backend부분을 설정하면서 어려웠던 부분을 중심으로 포스팅을 구성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ReactJS를 통해 웹페이지를 구성할때 어려움을 겪었던 부분과 트러블 슈팅을 하면서 얻은 경험을 위주로 포스팅할 것같다. 또한 전체 서비스를 AWS EKS를 사용하여 배포하는 법에 대해서도 정리해보겠다. (이 과정에 웃지못할 해프닝이 일어났었다 ... 학원에서 준 AWS 계정을 통해 배포한줄 알았는데 알고보니까 개인 프리티어를 사용하여 배포를 진행했었던것 ... 나름 배포한다고 3~4일 켜놓았는데 예상보다 사용금액이 너무 많이 나와서 당황했었다 !! 하지만 침착하게 AWS에 연락한 결과..... AWS 측에.. 2022. 6. 6.
Django + ReactJS를 이용한 프로젝트 만들기 [1/2] 오랜만에 개인 관련 포스팅을 한다. 5월 2일 부터 팀 프로젝트 진행 때문에 블로그를 신경 쓸 시간이 없었는데 마침 1차 프로젝트가 끝나고 2차 프로젝트가 어느정도 진행되어 시간이 생겼다!!!! 이번 포스팅은 완성한 1차 프로젝트를 간단하게 정리하는 글이 될 것이다. 나 또한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무수히 많은 블로그와 레퍼런스를 참고했기 때문에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고자 정리해본다! 글의 순서는 아래와 같다!! 1. 프로젝트의 주제 선정 및 목표 2. 사용된 라이브러리 / 환경 3. 어려웠던 기능 구현 4. 배포 아래는 프로젝트 소스코드 주소이다 ㅎㅎ 😺Github GitHub - codemonkyu/Movie_project: multicampus_cloud_team4 multicampus_cloud_tea.. 2022. 6. 1.
[Network] TCP/IP 란? TCP/IP란? TCP/IP에 대해 알아보기전에 먼저 프로토콜의 개념을 알고있어야 합니다. 프로토콜은 시스템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메시지 형식 및 프로시저에 대한 규칙 세트입니다. 신호를 수신받는 호스트가 메시지를 이해하려면 통신에 관련된 각 시스템은 TCP/IP가 가진 규칙을 준수해야합니다. TCP/IP의 프로토콜 계층을 보면 쉽게 이해가 가능합니다. TCP/IP는 정보가 발신자에서 수신자로 이동하는 방법을 조심스럽게 정의합니다. 1. 우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메시지나 데이터 스트림을 인터넷 전송 계층 프로토콜인 UDP(User Datagram Protocol) 또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중 하나로 전송합니다. 2. 해당 .. 2022. 5. 27.
[MariaDB] MariaDB 관리 접속 및 간단 사용법 MariaDB에 대한 기초적인 명령어 중심으로 간단한 사용법에 대해 정리해보겠다. Root 사용자 접속 mysql -u root -p - MariaDB를 관리하기 위해 root 계정으로 접속해준다. MariaDB설치 시 설정했던 비밀번호로 로그인해준다. 사용자 관리 사용자 생성과 권한 부여 grant [권한 종류] on DB이름. 테이블 이름 to 사용자 이름@호스트 identified by ['패스워드']; grant all on test_1.* to user1@localhost identified by 'user1234'; 사용자 조회 show grants for 사용자 이름@호스트; show grants for user1@localhost; 사용자 패스워드 변경 set password for 사용자.. 2022. 5.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