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Cloud & Infrastructure]71

[Network] & [AWS] EC2 인스턴스의 네트워크 처리량 벤치 마킹하기 Contents 1. 벤치마크의 목적 2. 벤치마크 Tool - iperf3 3. 네트워크 테스트 환경 구현 4. 네트워크 테스트 진행 5. 결과 분석 Amazon EC2 인스턴스는 유형별 상이한 네트워크 처리량(throughput)를 지원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동일한 AWS VPC에 위차한 인스턴스간의 네트워크 처리량" 벤치마크를 진행하고 이를 분석해보려고 한다. 먼저 목차를 먼저 설명하고 진행해보겠다. 1. 벤치마크의 목적 동일한 VPC내에서 인스턴스간의 네트워크 워크로드를 구성할때 "인스턴스에서 지원되는 네트워크 성능"을 확인하는 단계에서 해당 벤치마크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VPC내에서의 네트워크 성능과 Internet Gateway 등을 통한 서로 다른 VPC 에서의 성능 평가.. 2023. 8. 23.
[Linux] 개인 RHEL Repository 생성하여 사용해보기 목차 - yum.repo.d 알아보기 - RPM vs YUM - 특정 패키지 다운로드하기 - 사설 Repository 생성 - 사설 Repository 사용 RHEL 리눅스를 사용하는 경우 Red hat 레포지토리에서 원하는 패키지를 편리하게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다. 레포지토리에서 패키지를 가져오는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궁금하였고, 해당 부분을 직접 설정하여 필요한 패키지만 모아 놓은 사설 레포지토리를 생성하고 해당 레포지토리를 외부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해보고 싶었다. 또한 보안을 목적으로 외부와 단절되어 있는 서버인 경우 외부와 인터넷을 통해 통신할 수 없기 때문에 레포지토리를 사용할 수 없는 환경일 수 있는데, 이러한 상황에서도 위의 과정을 알고 있으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물.. 2023. 8. 20.
[AWS] EC2에서 루트볼륨교체 사용해보기 OS 볼륨에 문제가 있어서 인스턴스가 정상 작동하지 않는다면 매우 난감하다. 이러한 경우 AWS에서 제시하는 방법으로, 새로운 복구 인스턴스(Rescue Instance)를 생성하여 문제의 루트볼륨을 데이터 볼륨으로 마운트한 뒤 루트 볼륨의 OS로그를 분석하여 해결하는 방법이 있다. * Why is my EC2 Linux instance not booting and going into emergency mode? -> https://repost.aws/knowledge-center/ec2-linux-emergency-mode 인스턴스가 정상적으로 부팅이 되지 않는 현상에 대해 원인 분석을 위해서는 위의 방법을 통해 OS로그를 살펴보고, 문제점을 파악한 후 수정하는것이 옳은 방법이다. 하지만 급하게 인스턴.. 2023. 5. 6.
[AWS] 스냅샷의 작동 방식 및 실제 크기 구하기 AWS에서는 EBS볼륨에 대한 스냅샷(Snapshot)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스냅샷의 작동 방식 / 생성 / 실제 스냅샷이 가지고 있는 데이터의 크기 계산을 통해 스냅샷의 비용까지 계산해보는 내용에 대한 글을 포스팅을 해보려고한다.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보자! 스냅샷의 작동 방식 스냅샷의 작동 방식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제일 먼저 알아야 할 가장 중요한 개념은 스냅샷은 "증분식"으로 작동한다는 사실이다. 증분식이란 동일한 볼륨에 대해 여러개의 스냅샷을 생성하는 경우 가장 최신의 스냅샷(마지막 스냅샷)은 이전의 스냅샷이 가진 데이터에서 변경된 부분만 가지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조금 더 정확한 이해를 돕기 위한 그림 및 공식 문서를 첨부한다. AWS 공식 문서 - 스냅샷 작동 방식 [동일한.. 2023. 3. 25.
[Linux] Linux 부팅 과정 알아보기 리눅스 시스템에서 부팅이라 부르는 과정을 정리해보겠다. 부팅과정을 알면 아래의 상황에서 도움이 될 수 있다. 1) 부팅 관련 장애 발생에서 원인을 찾을 때 도움이 된다. 2) 부트로더 에러 및 커널패닉 같은 자주 발생하는 부팅에러를 해결할 때 도움이 된다. 3) 시스템이 어떻게 하드웨어를 인식하는지 알 수 있다. 부팅 과정은 아래의 순서로 진행된다. BIOS (Basic INPUT / OUTPUT System) - This is the first step toward the Linux boot process. - BIOS is a very important and very first part of booting any operating system like Linux, Windows, or macOS. .. 2023. 2. 12.
[Linux] SSH 접속에 대한 이해 서버에 원격으로 접속할 때, 외부의 보안 위협으로부터 안전하게 접속하려면 'SSH'라는 보안 방식을 적용해서 접속해야 한다. 그렇다면 SSH란 정확히 무엇일까? 이번 포스팅에서는 SSH의 개념과 SSH-keygen을 사용하여 키 페어를 만들어 원격 서버에 접속하는 방법을 포스팅해보겠다. SSH 란?? SSH란 Secure Shell의 줄임말로, 원격 호스트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보안 프로토콜이다. (*Shell이란 명령어와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 쓰는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좀 더 자세하게 표현하자면 커널과 사용자를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가 명령어를 입력하면 해석해서 커널로 옮겨 실행하는 역할을 해주는 것이다.) 기존 원격 접속은 Telnet이라는 방식을 사용했는데, 암호화를 제공하지 않기 때.. 2022. 10. 23.
[Linux] AWS EBS 볼륨 파티션 LVM 생성하기 LVM (Logical Voulme Manager) 이란? LVM이란 물리적인 디스크를 논리적 볼륨 그룹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을 이용하면 논리적인 볼륨 그룹 내에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 만큼의 논리본륨을 할당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여러 개의 디스크를 하나의 논리적인 볼륨 그룹(VG)으로 구성할 수 있다. 각 논리 볼륨(LV)은 독립적이므로, 하나의 디스크에도 여러 가지의 파일 시스템을 설치할 수 있다. (하나의 VG은 여러 개의 LV을 갖기 때문에 가능하다.) EBS 볼륨에서 생성된 파티션에 LVM 논리 볼륨 생성하기 EBS 볼륨에서 물리 볼륨(PV)을 생성합니다. 볼륨 그룹(VG)을 생성한 다음, 볼륨 그룹에 물리 볼륨을 추가합니다. 논리 볼륨(LV)을 생성한 다음, LVM에 디렉터리를 탑.. 2022. 10. 9.
[Linux] 디스크, 파티션,볼륨 그리고 AWS EBS 볼륨 탑재하기 Linux를 다루다 보면 디스크, 파티션 그리고 볼륨이라는 단어를 많이 듣는다. 실제로 혼동하기 쉬운 개념이며 정확하게 알고 구분하여 알아야 하는 내용이라 정리해보려 한다. 또한 AWS EBS를 기준으로 실제 디스크를 파티셔닝하고 마운트 하는 과정부터 LVM을 활용하여 볼륨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까지 정리한 포스팅이다. 디스크(Disk) - 디스크는 일반적으로 서버에 장착되어 있는 물리적인 저장장치를 의미한다. 옛날에는 HDD가 주로 사용되었을 때는 HDD를 의미하기도 했지만, 최근에는 SSD, NVME 심지어 가상 디스크도 디스크라고 부르고 있다. 파티션(Partition) - 파티션은 물리적인 저장장치를 사용할 목적에 따라 구역을 나눈것이다. 디스크를 하나의 집이라고 생각하면 파티션은 여러 개의 .. 2022. 10.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