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loud & Infrastructure]71 [Kubernetes] 쿠버네티스란 ? 쿠버 네티스(kubernetes)란 쿠버네티스는 컨테이너화 된 워크로드와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오픈소스 플랫폼이다.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중 하나로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은 컨테이너의 배포, 관리, 확장, 네트워킹을 자동화해준다.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이란?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이란?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은 컨테이너의 배포, 관리, 확장, 네트워킹을 자동화합니다. www.redhat.com 배포 방식에 따른 쿠버 네티스의 필요성 증가 Traditional Deployment(전통적인 배포): 배포 초기에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회사 또는 배포자가 직접 물리 서버를 운영했다. 한 물리 서버에서 여러 애플리케이션의 리소스(자원) 한계를 컨트롤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기 때문에 리소스를 효과적으로.. 2022. 4. 6. [Docker] Docker 실습으로 알아보기 (1/4) Docker의 명령어들을 실제로 사용해보며 docker의 작동 메커니즘, 특징 등을 자세히 살펴보는 포스팅을 해보려고 한다. 최대한 비슷한 카테고리로 개념을 분류하여 포스팅하겠지만 내용에 따라 이해에 필요한 부가적인 설명은 구분 없이 정리하여 내용이 복잡해질 것 같다 ㅎㅎ... 1. 가상 환경에 docker 설치하기 * 사전 준비 -linux(red_hat)(운영체제) / VirtualBox(가상 환경 지원) / putty or xshell (가상 환경 접근방법) *docker에 대한 사전 지식 (이전 포스팅 참고) [Docker]Docker는 무엇인가? [이전 글] [가상화와 컨테이너] 가상화와 컨테이너의 차이점 이번 포스팅은 가상화와 컨테이너의 차이점을 다뤄보겠다. 우선 가상화에 대한 개념 혹은 하이.. 2022. 4. 2. [AWS] Local 환경에서 AWS CLI 사용하기 AWS CLI(Command-Line Interface)란? AWS CLI(명령줄 인터페이스)는 AWS 서비스를 관리하는 통합 도구입니다. 도구 하나만 다운로드하여 구성하면 여러 AWS 서비스를 명령줄에서 제어하고 스크립트를 통해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AWS CLI 시작하기 사전 조건 1) AWS 가입하기 - AWS에 가입하여 Root 계정을 생성합니다. 2) IAM 사용자 계정 생성 - 생성한 Root 계정으로 로그인한 후 IAM 콘솔로 들어가 IAM 사용자를 만들어 줍니다. 과정: 사용자 이름 - Administrator 그룹생성 - Administrators 정책 - AdministratorAccess 3) IAM 사용자의 액세스 키 ID 및 보안 액세스 키 생성 & 저장 - IAM 사용자를 만들.. 2022. 3. 27. [Openstack] 오픈스택이란? 오픈 스택이란 IaaS형태의 클라우드 컴퓨팅 오픈소스 프로젝트이다. IaaS를 쉽게 구축할 수 있도록 플랫폼을 지원해주며 사용자는 오픈스택의 Dashboard(대시보드)를 통해 프로세싱, 저장공간, 네트워킹 등의 가용자원들을 제어할 수 있다. 여러 배포판이 있으며 6개월에 주기로 새로운 배포판을 릴리스하고 있다. 쉽게 말해 컴퓨터 하드웨어 위에 인프라를 서비스로 제공하여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를 구축하게 해주는 오픈 소스 플랫폼이다. 오픈스택의 구성요소 1. Horizon (Dashboard) 사용자가 오픈스택의 구성요소들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UI 서비스이다. 2. NOVA (Compute) AWS의 EC2, GCP의 Compute Engine와.. 2022. 3. 26. [AWS] AWS Lambda 시작하기 Lambda란? Lambda는 서버를 프로비저닝 하거나 관리하지 않고도 코드를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컴퓨팅 서비스입니다. Lambda는 고가용성 컴퓨팅 인프라에서 코드를 실행하고 서버와 운영 체제 유지 관리, 용량 프로비저닝 및 자동 조정, 코드 및 보안 패치 배포, 코드 모니터링 및 로깅 등 모든 컴퓨팅 리소스 관리를 수행합니다. Lambda를 사용하면 거의 모든 유형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백엔드 서비스에 대한 코드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Lambda가 지원하는 언어 중 하나로 코드를 공급하기만 하면 됩니다. 출처: AWS Lambda 개발자 안내서 최근 클라우드 컴퓨팅 부문에서 가장 주목받는 용어 중 하나가 '서버리스 컴퓨팅(serverless computing)'입니다. 서버리스란 물리적인 서버가 .. 2022. 3. 21. [AWS] VPC 시작하기 (3/3) 개요 저번 포스팅을 통해 VPC가 어떻게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인터넷과 연결되는지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인터넷과 연결된 순간 트래픽에 대한 제어와 통제 , 확인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VPC의 트래픽을 통제하고 제어하는 서비스와 트래픽의 흐름을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해당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들은 Security Group, Network ACL, VPC Flow Logs로 총 3가지입니다. Network ACL : Route table 아래 자물쇠가 채워진 첫 번째 상자입니다. subnet을 오가는 트래픽을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Security Group: 두 번째 상자는 subnet 내부에 위치한 security group입니다. subnet 내 인스턴스의.. 2022. 3. 20. [AWS] VPC 시작하기 (2/3) 이번 포스팅에서는 VPC에서의 서브넷(subnet)과 routing table, internet gateway, NAT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Routing table 라우팅 테이블(Routing table)이란 네트워크 상의 특정 목적지까지의 거리와 가는 방법 등을 명시하고 있는 테이블입니다. 라우터는 어떤 목적지를 찾아갈때 이 라우팅 테이블을 보고 찾아가게 됩니다. 쉽게 말하면 라우터가 여러 가지 정보를 종합해서 얻어낸 네트워크에 대한 지도를 라우팅 테이블이라고 합니다. 라우팅 테이블의 구성도 이렇듯 라우팅 테이블은 local server에서 또 다른 subnet을 가지는 remote server와 통신하기 위해서 필요합니다. vpc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vpc 내에는 subnet이 있으며 각 su.. 2022. 3. 20. [AWS] VPC 시작하기 (1/3) VPC란 VPC: Virtual Private Cloud(가상 사설 클라우드)입니다. Amazon Virtual Private Cloud(Amazon VPC)를 이용하면 사용자가 정의한 가상 네트워크로 AWS 리소스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이 가상 네트워크는 AWS의 확장 가능한 인프라를 사용한다는 이점과 함께 고객의 자체 데이터 센터에서 운영하는 기존 네트워크와 매우 유사합니다. 출처 : AWS VPC 설명 Amazon VPC 개념 Virtual Private Cloud(VPC) — 사용자의 AWS 계정 전용 가상 네트워크입니다. 서브넷 — VPC의 IP 주소 범위입니다. CIDR 블록 — 클래스 없는 도메인 간 라우팅입니다.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할당 및 라우팅 집계 방법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Wik.. 2022. 3. 19. 이전 1 ··· 3 4 5 6 7 8 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