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값, 최소값(max,min)을 구하는 알고리즘
최대값(max) 찾기 정수가 들어있는 리스트에서 가장 큰 수 ( 최대값,max)를 찾아 출력하려고 한다. 사실 파이썬에는 이미 max()라는 메소드가 준비되어 있어서 쉽게 처리할 수 있다. a = [3, 2, 1, 8, 9, 10, 11, 13] print(max(a)) 13 이미 있는 메소드를 잘 활용하여 쉽게 접근하는 방법도 중요하지만, 메소드의 정확한 로직을 알아보기 위해 메소드를 모른다는 가정하에 문제를 풀어보자. 사람은 a = [3, 2, 1, 8, 9, 10, 11, 13]를 보자마자 자연스럽게 13이 제일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컴퓨터는 리스트 안의 모든 요소들을 일일이 비교하여 그 중 가장 큰 수를 찾아야한다. a = [3, 2, 1, 8, 9, 10, 11, 13] max_va..
2022. 1. 21.
내장 열거 함수 (built-in sequence function)
enumerate 함수 열거형을 다루다보면 성분에 해당하는 인덱스가 필요한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enumerate()는 (인덱스, 성분) 튜플을 차례로 반환한다. 예를들면, a = ['봄', '여름', '가을', '겨울'] list(enumerate(a)) print(a) [(0, '봄'), (1, '여름'), (2, '가을'), (3, '겨울')] # (인덱스,성분)의 구조로 출력되었다. 따라서 반복문에서 아래와 같이 활용할 수 있다. a = ['영', '일', '이', '삼'] for i,j in enumerate(a): print("{}은 {}".format(i,j)) 0은 영 1은 일 2은 이 3은 삼 sorted 함수 sorted()는 반복 가능 객체를 정렬해서 새로운 객체를 반환한다. 예를들..
2022. 1. 21.
리스트(list)
리스트 리스트는 튜플과 다르게 가변 객체이다. 즉, 리스트 안의 성분을 변경할 수 있다. a = [1, 3, 4, 5] a[1]= 13 print(a) [1, 13, 4, 5] 그럼 다음으로 리스트의 성분을 추가하고 삭제할 수 있는 메소드를 알아보자 a = [1, 2, 3] a.append('다섯') #append(i) 메소드를 이용해서 리스트의 끝에 i를 추가할 수 있다. print(a) [1, 2, 3, '다섯'] ##################################################################################### b = [1, 2, 3] b.insert(0, '영') #insert(삽입위치, 성분)메소드를 이용해서 삽압위치에 성분을 삽입할 수 있다..
2022. 1.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