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08

[Network] NAT 란 무엇인가? NAT란 무엇인가? NAT란 Network Address Translation의 약자로 하나의 공인 ip를 여러 개의 사설 ip로 변환하는 시스템이다. 아니 그럼 도대체 멀쩡한 공인IP를 두고 왜 NAT를 쓰는 거지?? 바로 우리가 쓰는 공인 IP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그럼 왜 부족한데? 현재 우리는 ***.***.***.***형태의 IPv4형태의 주소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8개의 연속적인 비트 집합을 의미하는 옥텟이 4개가 모여 이루어져 있는 구조이다. 즉, 2^32=4,294,967,296 개로 약 43억 개의 공인 ip주소가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어? 43억 개 정도면 충분하지 않을까 싶었지만 놀랍게도 부족하다고 한다! 당장 전 세계의 노트북, 컴퓨터, 서버, 스마트폰, 태블릿 등 인터넷이 가.. 2022. 2. 26.
[Web Docs] 웹 작동 방식 클라이언트 및 서버 클라이언트 : 일반적으로 웹 사용자의 인터넷 연결 장치 (wi-fi, 모바일 네트워크, 인터넷)과 해당 장치에서 사용할 수 있는 웹 액세스 소프트웨어 (chrome)서버 : 웹 페이지, 사이트, 앱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클라이언트 장치가 웹페이지에 엑세스하려고 할 때 서버에서 웹페이지의 복사본이 클라이언트 컴퓨터로 다운로드되어 사용자에게 보인다. 이외에 요소들 (*클라이언트(고객)가 서버(상점)에 무엇을 사러 간다는 가정을 해보자)인터넷 연결 : 웹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그것은 기본적으로 당신의 집과 상점 사이의 거리와 같습니다.TCP/IP : 전송 제어 프로토콜 및 인터넷 프로토콜은 데이터가 인터넷을 통해 이동하는 방법을 정의하는 통신 프로토콜입니다. 이것은 주문하고, .. 2022. 2. 22.
[Web Docs] 인터넷은 어떻게 작동할까 ? 인터넷은 어떻게 작동할까 일단 2개의 컴퓨터를 네트워크로 연결해보면 아래와 같은 그림으로 연결될 것이다. 그럼 10개의 컴퓨터를 연결하려면?? 몇 개의 선이 필요할까??? 컴퓨터는 개당 9개의 플러그가 필요하고 10개의 컴퓨터에 연결하는 45개의 케이블이 필요해진다. 세상에는 몇억 대의 컴퓨터가 있는데 그렇게 수많은 컴퓨터를 전부 저렇게 연결해야 한다면 너무나도 힘들 것이다.... 하지만 우리에게는 이러한 작업을 단순하게 만들어 주는 장치가 있다. 바로 라우터이다. 라우터는 단 하나의 작업만 수행한다. 바로 연결된 컴퓨터(출발지)에서 보낸 메시지가 올바른 컴퓨터(목적지)에 도착하는지 확인해준다. 그렇다면 더 많은 컴퓨터를 연결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단순하게 생각하자 그냥 여러 컴퓨터가 연결된 라우터끼.. 2022. 2. 22.
[django] 장고 개념 [MVC & MTV] 개념 MVC Model : 안전하게 데이터를 저장 View : 데이터를 적절하게 유저에게 보여줌 Control, Template(django) : 사용자의 입력과 이벤트에 반응하여 Model과 view를 업데이트 [Django] 개념 django 작동 흐름 Web Browser -> URL -> View -> Model -> DB -> Model ->View -> Template -> Web Browser model , view, template 개념 1) Model : 테이블을 정의한다. 2) Template : 사용자가 보게 될 화면의 모습을 정의한다. 3) View :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흐름 및 처리 로직을 정의한다. 모델은 model.py파일에, 템플릿은 templates .. 2022. 2. 19.
[python] 리스트에 map 사용하기 이번 시간에는 리스트에 map을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다. map은 리스트의 요소를 지정된 함수로 처리해주는 함수이다. (*map은 원본 리스트를 변경하지 않고 새 리스트를 생성한다.) 사용 예시 list(map(함수, 리스트)) tuple(map(함수, 튜플)) 사용 예) 1. 실수로 이루어진 a 리스트의 모든 요소를 정수로 변환하는 식 (기존) a = [1.2, 2.5, 3.7, 4.6] for i in range(len(a)): a[i] = int(a[i]) print(a) [1, 2, 3, 4] 2. 실수로 이루어진 a 리스트의 모든 요소를 정수로 변환하는 식 (map 사용) a = [1.2, 1.3, 1.5, 1.7] a = list(map(int,a)) print(a) [1, 1, 1, 1].. 2022. 2. 12.
[데이터 분석] 행정구역 정보를 읽고, 분석하기(2/2) [1]. 상관계수 (crrelation) * 인구수와 면적간에 관련성이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서 상관계수를 구하기 * 상관계수 값음 -1 ~ 1 사이의 값으로 , -1에 가까우면 음에 비례, 1에 가까우면 양의 비례(관련성이높다), 0에 가까울수록 상관x * 음수는 반비례, 양수는 비례 * corr()함수사용 corr() 함수 사용 data['면적'].corr(data['인구수']) -0.3460351605045771 서울특별시의 면적과 인구수의 상관계수 구하기 seoul_df = data.loc[data['광역시도'] == '서울특별시'] seoul_df['면적'].corr(seoul_df['인구수']) 0.664426818890978 [2]. Group By 기능 * 광역시도별 인구수의 합계 * ~별에.. 2022. 2. 12.
[데이터 분석] 행정구역 정보를 읽고, 분석하기(1/2) 오늘은 위의 첨부한 파일을 갖고 정보를 읽고, 분석하는 작업을 해보겠다. 작업 순서는 아래와 같다. 제목 [행정구역 정보를 읽고, 분석하기] 목차 1. read_csv()함수로 csv file 읽어오기 2. 특정행과 열을 선택하기 3. 컬럼명변경 4. 상관관계 분석 (인구수와 면적간의 상관관계) 5. 시각화 [1]. 데이터 읽어오기 import pandas as pd data = pd.read_csv('data_draw_korea.csv') #print(data) data.sample(3) Unnamed: 0인구수shortNamexy면적광역시도행정구역 171739668횡성105997.82강원도횡성군 115115292375부산북구91638.30부산광역시북구 106106321618대전유성413177.16대전.. 2022. 2. 11.
Pandas(판다스)란? 판다 스란 Pandas는 쉽고 직관적인 관계형 또는 분류된 데이터로 작업할 수 있도록 설계된 빠르고 유연하며 표현이 풍부한 데이터 구조를 제공하는 Python 패키지이다. 적합한 사용용도 SQL 테이블 또는 Excel 스프레드 시트에서와 같이 이질적으로 유형이 지정된 열이 있는 데이블 형식 데이터 정렬되고 정렬되지 않은 시계열 데이터 행 및 열 레이블이 포함된 임의의 행렬 데이터 다른 형태의 관찰 / 통계 데이터 세트 Pandas import 하기 & 시각화를 위한 matplotlib import 하기 import pandas as pd import numpy as np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1].데이터 오브젝트 생성하기 데이터 오브젝트는 ‘데이터를 담고 있는 그릇’.. 2022. 2.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