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11

[AWS] EC2 - 인스턴스 생성하기 (1/2) EC2란  Amazon Elastic Compute Cloud(Amazon EC2)는 Amazon Web Services(AWS) 클라우드에서 확장 가능 컴퓨팅 용량을 제공합니다. Amazon EC2를 사용하면 하드웨어에 선 투자할 필요가 없어 더 빠르게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배포할 수 있습니다. Amazon EC2를 사용하여 원하는 수의 가상 서버를 구축하고 보안 및 네트워킹을 구성하며 스토리지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Amazon EC2에서는 확장 또는 축소를 통해 요구 사항 변경 또는 사용량 스파이크를 처리할 수 있으므로 트래픽을 예측할 필요성이 줄어듭니다. EC2 특징클릭 몇 번 만으로 가상 컴퓨팅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음원하는 만큼 가상 서버를 구축하고 보안 및 네트워크 구성과 스토리지 관리가 .. 2022. 3. 18.
[AWS] IAM 계정에 정책(Policy)와 역할(Role)부여하기 (2/2) 오늘은 Root계정으로 AWS 로그인 후 IAM 계정을 만들어 정책, 역할을 부여하는 실습을 해보겠다. 목차를 지정하여 필요한 부분만 볼 수 있게 해 놓을 것이다. 1. AWS Root 계정 로그인 2. AWS console창에 IAM 검색 3. 사용자 추가 & 그룹 생성 엑세스 관리 -> 사용자 -> 사용자 추가 (클릭) 사용자 추가 -> 사용자 이름(AWS 로그인 시 필요한 ID) 자격증명 유형 선택(암호) -> aws 관리 콘솔 엑세스 체크하고 콘솔 비밀번호는 자동으로 생성되도록 체크 권한 설정-> 그룹에 사용자 추가 선택 그룹 생성-> 새로 만든 사용자를 넣어 줄 그룹을 선택하거나 생성해준다. 그룹 생성 -> 그룹 이름을 설정하고 정책 필터에서 정책을 선택하여 권한을 부여합니다. 예시) Admin.. 2022. 3. 16.
[AWS] IAM 계정에 정책(Policy)와 역할(Role)부여하기 (1/2) AWS IAM(Identify and Access Management)이란? IAM(Identify and Access Management)은 AWS 리소스에 대한 액세스를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는 웹 서비스입니다. IAM을 사용하여 리소스를 사용하도록 인증 및 권한을 부여하여 대상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쉽게 생각하여 IAM은 AWS 데이터센터에 접속할 수 있는 출입 권한을 가진 허가증이라고 생각하시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AWS계정을 처음 생성하는 경우에는 전체 AWS 서비스 및 계정의 모든 리소스에 대해 완전하게 액세스가 가능한 권한을 지닌 ROOT(루트) 계정을 생성하게 됩니다. ROOT(루트) 계정은 계정의 모든 서비스와 리소스에 대해 액세스가 가능하므로 보안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2022. 3. 15.
[Django] ORM이란? ORM을 알아보기 전에 먼저 SQL에 대해 알고 넘어가자. What is SQL SQL means Structured Query Lnaguage Is the language that the SQL databases understand We write SQL statement to get data from the database SQL databases are relational databases SQL의 언어적 특성 1. SQL은 대소문자를 가리지 않습니다. 2. SQL 명령은 반드시 세미콜론(;)으로 끝나야 한다. 3. 고유의 값은 따옴표('')로 감싸준다. ex) SELECT * FROM EMP WHERE NAME = 'James' ; 4. SQL에서 객체를 나타낼 때는 백틱(``)으로 감싸준다. e.. 2022. 3. 14.
[AWS] AWS EC2 시작하기 (AWS 기초 서비스) EC2(Elastic Compute Cloud)란? - AWS에서 EC2 서비스란 가상 컴퓨터 인스턴스를 제공받는 서비스입니다. 가상 컴퓨터 인스턴스에서 인스턴스란 컴퓨터라고 생각하면 편합니다. 즉, EC2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는 가상 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server)를 빠르고 간편하게 대여할 수 있는 것이죠! EC2의 특징 유연한 가상 컴퓨팅 (유연성, 탄력성) EC2 서비스를 사용하면 몇십 시간, 며칠이 아니라 몇 분 이내에 server의 용량을 늘리고 줄일 수 있다. 또한 한 번에 여러 개의 인스턴스를 동시에 지정하여 여러 가상 환경을 동시에 서비스하고 관리할 수 있다. 클라우드 호스팅 서비스 사용자는 여러 인스턴스 유형, 운영체지 및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선택할 수 있다. EC2 서비스를 .. 2022. 3. 13.
[AWS] AWS Region / AZ 이해하기 (AWS의 인프라 이해하기) AWS Region AWS에는 Region이라는 개념이 있다. 클라우딩 컴퓨팅에 대해 기반 지식이 있다면, Region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전 세계에 데이터를 수집/배포(클러스터링)하는 물리적위치를 필요로 하는데 이 물리적 위치가 AWS Region이다. 쉽게 말해 데이터 센터가 있는 위치라고 생각하면 된다. 전 세계에 여러 개의 리전(Region)을 구축함으로써 물리적 거리를 좁혀 서비스 이용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래와 같이 현재 전 세계 26개의 Region이 있으며, 84개의 가용 영역(AZ)을 운영하고 있다. AWS AZ(Availability Zone) AWS Region에는 빠질 수 없는 개념이 있다. 바로 AWS AZ이다. AWS Ser.. 2022. 3. 9.
[AWS] SaaS,PaaS,IaaS & 클라우드 배치 모델 개요 지난 2020년부터 2022년인 현재까지 팬데믹 사태로 인해 비대면 상황이 많아지면서 인터넷으로 처리해야할 데이터의 양이 비약적으로 증가하였다. 사실상 실시간으로 가파르게 증가하는 데이터, 트래픽 등에 맞춰 자체 서버를 운영하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이다. 때문에 요즘 많은 회사들이 전자상거래 사업을 클라우드(클라우드 컴퓨팅)로 이전하고있다. 이번 글에서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유형과 장점 그리고 각각의 유형에 맞게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하는 방법에 대해 공부해보자. 먼저 클라우드 컴퓨팅의 주요 세가지 유형에 대해 알아보자. 1. IaaS (Infrastructure-as-a-Service) 2. PaaS (Platforms-as-a-Service) 3. SaaS (Software-as-a-Service) .. 2022. 3. 8.
[Linux] 사용자 관리 (사용자와 그룹) 사용자 확인 리눅스는 다중 사용자 시스템이다. 즉, 리눅스 서버 1대에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접속해서 사용한다. 그럼 간단한 게 현재 내가 사용하고 있는 리눅스의 사용자를 확인해보자 터미널을 열고 gedit or vi로 /etc/passwd 열어보자 맨 위의 root 사용자부터 맨 아래 바로 위의 gdm 사용자까지는 리눅스에서 기본적으로 존재하는 표준 사용자이다. 맨 아래 ubuntu의 사용자 id는 1000이고 속한 그룹의 id도 1000이다. 추가 정보는 모두 생략으로 되어 있고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home/ubuntu)와 로그인 시 제공되는 셸(/bin/bash)이 보이고 있다. 다음으로 /etc/group 파일을 열어보자 각 행은 '그룹 이름:비밀번호:그룹 ID:보조 그룹 사용자'를 의미한다... 2022. 3.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