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11

Django + ReactJS를 이용한 프로젝트 만들기 [2/2] 프로젝트 회고록의 2번째 포스팅이다. 이전 포스팅에서는 프로젝트의 전체적인 설정을 구성하고 django로 backend부분을 설정하면서 어려웠던 부분을 중심으로 포스팅을 구성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ReactJS를 통해 웹페이지를 구성할때 어려움을 겪었던 부분과 트러블 슈팅을 하면서 얻은 경험을 위주로 포스팅할 것같다. 또한 전체 서비스를 AWS EKS를 사용하여 배포하는 법에 대해서도 정리해보겠다. (이 과정에 웃지못할 해프닝이 일어났었다 ... 학원에서 준 AWS 계정을 통해 배포한줄 알았는데 알고보니까 개인 프리티어를 사용하여 배포를 진행했었던것 ... 나름 배포한다고 3~4일 켜놓았는데 예상보다 사용금액이 너무 많이 나와서 당황했었다 !! 하지만 침착하게 AWS에 연락한 결과..... AWS 측에.. 2022. 6. 6.
Django + ReactJS를 이용한 프로젝트 만들기 [1/2] 오랜만에 개인 관련 포스팅을 한다. 5월 2일 부터 팀 프로젝트 진행 때문에 블로그를 신경 쓸 시간이 없었는데 마침 1차 프로젝트가 끝나고 2차 프로젝트가 어느정도 진행되어 시간이 생겼다!!!! 이번 포스팅은 완성한 1차 프로젝트를 간단하게 정리하는 글이 될 것이다. 나 또한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무수히 많은 블로그와 레퍼런스를 참고했기 때문에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고자 정리해본다! 글의 순서는 아래와 같다!! 1. 프로젝트의 주제 선정 및 목표 2. 사용된 라이브러리 / 환경 3. 어려웠던 기능 구현 4. 배포 아래는 프로젝트 소스코드 주소이다 ㅎㅎ 😺Github GitHub - codemonkyu/Movie_project: multicampus_cloud_team4 multicampus_cloud_tea.. 2022. 6. 1.
[Network] TCP/IP 란? TCP/IP란? TCP/IP에 대해 알아보기전에 먼저 프로토콜의 개념을 알고있어야 합니다. 프로토콜은 시스템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메시지 형식 및 프로시저에 대한 규칙 세트입니다. 신호를 수신받는 호스트가 메시지를 이해하려면 통신에 관련된 각 시스템은 TCP/IP가 가진 규칙을 준수해야합니다. TCP/IP의 프로토콜 계층을 보면 쉽게 이해가 가능합니다. TCP/IP는 정보가 발신자에서 수신자로 이동하는 방법을 조심스럽게 정의합니다. 1. 우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메시지나 데이터 스트림을 인터넷 전송 계층 프로토콜인 UDP(User Datagram Protocol) 또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중 하나로 전송합니다. 2. 해당 .. 2022. 5. 27.
[MariaDB] MariaDB 관리 접속 및 간단 사용법 MariaDB에 대한 기초적인 명령어 중심으로 간단한 사용법에 대해 정리해보겠다. Root 사용자 접속 mysql -u root -p - MariaDB를 관리하기 위해 root 계정으로 접속해준다. MariaDB설치 시 설정했던 비밀번호로 로그인해준다. 사용자 관리 사용자 생성과 권한 부여 grant [권한 종류] on DB이름. 테이블 이름 to 사용자 이름@호스트 identified by ['패스워드']; grant all on test_1.* to user1@localhost identified by 'user1234'; 사용자 조회 show grants for 사용자 이름@호스트; show grants for user1@localhost; 사용자 패스워드 변경 set password for 사용자.. 2022. 5. 2.
[Djnago] Django-rest-framework 활용하여 API 서버 만들기 Django Rest Framework란? DRF(Django Rest Framework, http://www.django-rest-framework.org)란 RESTful API 서버를 Django 안에서 쉽게 구축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오픈 소스 라이브러리이다. RESTful 이란?: Representational Satate Transfer 규칙을 잘 지킴 REST 란 HTTP의 URL과 HTTP Method(GET, POST, PUT, DELETE)를 사용해서 API 사용 가독성을 높인 구조화된 시스템 아키텍쳐(Framework)이다. 하나의 URL로 우리는 최소 4가지의 HTTP Method를 전송할 수 있다. GET은 정보를 읽을 때, POST는 정보를 추가할 때, PUT은 정보를 업데이트할.. 2022. 4. 29.
[Djnago] REST API란? API에 대해서 어렴풋이 알고 있었지만 정확히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서 생각해본 적이 없었다. 이번에 장고에서 REST API 서비스를 만들며 REST와 API에 대한 개념인지 필요성을 느꼈고 정리해보았다. 결과부터 말하자면 REST API는 HTTP요청을 보낼때 어떤 URI에 어떤 메소드를 사용하지 개발자들 사이에서 지켜지는 약속이다. REST API는 특별한 프로그램이 아니라 하나의 형식이기 때문에 범용적으로 사용가능하다. API란? API 정의 - 쉽게 말해 API는 프로그램들의 상호작용을 도와주는 매개체이다. 예를 들어 우리가 식당에 가면 점원은 손님을 안내하고 주문을 받으며 손님이 원하는 메뉴를 주방에 알려준 뒤 메뉴가 나오면 손님에게 전달한다. 여기서 손님은 프로그램, 메뉴는 프로그램이 수.. 2022. 4. 27.
[kubernetes] NFS 정적 프로비저닝 (PV, PVC) 이번 포스팅에서는 NFS를 이용한 정적 프로비저닝에 대하여 써보겠다. 정적 프로비저닝이랑 PV 및 PVC리소스를 직접 생성하고 사용하는 방식이다. 이전 포스팅에서는 직접 워커노드에 NFS서버를 설치하고 클라이언트 노드의 디렉터리와 마운트하는 방식으로 스토리지를 공유했지만 정적 프로비저닝 방식을 사용하면 동일한 작업을 조금더 편하게 할 수 있다. 혹시 쿠버네티스의 스토리지 관리에 대하여 사전지식이 없다면 아래 링크에서 PV/PVC개념만 읽고오는 것을 추천한다. [kubernetes] 쿠버네티스의 스토리지 관리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스토리지 관리 1. 파드 내부의 각 컨테이너는 고유하게 분리된 파일시스템을 가진다. 2. 컨테이너의 파일 시스템은 컨테이너 이미지에서 제공되기 때문에 컨테이너가 재 codemonk.. 2022. 4. 25.
[kubernetes] 쿠버네티스 에서 NFS서버 사용하기(nfs기반 디스크) 지난 시간에 NFS(Network File system)서버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NFS서버를 활용한 디스크 (PD)를 기반으로한 PV/PVC를 구축해보겠다. 실습환경 *GKE(Google Kubernetes Engine)환경을 사용한다. 그럼 먼저 실습환경을 구성해보자 실습환경 구축하기 1)GCP에 가입하면 300달러상당의 크레딧을 준다. 이것을 이용해서 GCP의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회원가입 -> GKE(Google Kubernetes Engine) -> 만들기 -> GKE standard 구성을 선택한다. (*밑에 그림의 cluster-1은 미리 설치해둔것이다. 원래는 아무런 클러스터도 없는 게 정상이다.) 2) 클러스터 기본사항을 건드리지 않는다. 대신 왼쪽의 노드 풀 -> .. 2022. 4.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