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08

[Linux] 표준입력 & 출력 & 에러 , 파이프 문자, 쿼팅문자, 와일드카드 Linux에서 Linux에서 모든 환경 구성은 파일로 구성되어 있다. 때문에 리눅스에서 명령어를 사용할때는 파일을 가리키는 디스크립터에 대한 방향을 잘 이해하면 수준높은 작업을 할 수 있다. 아래는 표준입력, 표준출력, 표준에러에 대한 정리를 해놓은 표이다. - 리다이렉션 이란? 리다이렉션(Redirection)이란 말 그대로, 방향을 변경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리눅스에선 꼭 키보드로 표준 입력을 받거나 화면으로 표준 출력을 하는 것이아니라, 파일로 표준 입력을 받고, 파일로 표준 출력을 받는 등의 기능을 의미합니다. 리다이렉션을 이용하면 리눅스를 좀 더 자유롭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기초 사용법 (리다이렉션을 통한 표준출력&에러 제어하기) - 활용 활용 예시 표준입력 = 0 - 표준입력은 명.. 2022. 4. 10.
[Docker] Docker 실습으로 알아보기 (4/4) 백그라운드 실행 : Detached모드1. 옵션 -d 2. 데몬 모드라고 부르며 컨테이너가 백그라운드로 실행3. 백그라운드로 실행한 컨테이너 내에 명령어를 실행하면 실행 결과인 표준 출력이 표시되지 않는다. 실행결과를 확인하려면 #docker logs 컨테이너명을 사용한다.4. 백그라운드 모드는 주로 web server처럼 데몬 형태로 실행을 지속할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한다. 실습실습 - web server를 백그라운드 모드로 실행하고 웹 데몬으로 실행을 유지하도록 컨테이너를 실행한다[root@cent1 ~]# cd[root@cent1 ~]# cd lab[root@cent1 lab]# cat Dockerfile #vi Dockerfile로 만들어준 후 확인FROM  ubuntu:14.04MAINTAINE.. 2022. 4. 8.
[Docker] Docker 실습으로 알아보기 (3/4) 컨테이너 통신 1. 컨테이너의 네트워크는 기본적으로 외부와 통신이 불가능하다.  2. 외부통신을 원하면 외부로 노출할 Port를 지정해야 한다.  3. docker run -p 옵션 사용시 외부 노출할 포트를 지정 가능하다.   예) # docker run -d -p 8080:80 --name con1 httpd 외부에서 호스트서버의 8080 포트로 요청이 들어오면 con1 컨테이너의 80 포트로 해당 요청을 포워딩한다.  EXPOSE 사용1. EXPOSE  2. EXPOSE 하나로 포트 번호를 여러 개 설정 가능하다. 3. EXPOSE는 호스트와 연결할 컨테이너의 포트 번호를 설정한다.  4. docker run --expose 옵션과 같다. 5. EXPOSE 80, EXPOSE 443 또는EXPOSE.. 2022. 4. 7.
[Kubernetes] 쿠버네티스란 ? 쿠버 네티스(kubernetes)란 쿠버네티스는 컨테이너화 된 워크로드와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오픈소스 플랫폼이다.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중 하나로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은 컨테이너의 배포, 관리, 확장, 네트워킹을 자동화해준다.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이란?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이란?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은 컨테이너의 배포, 관리, 확장, 네트워킹을 자동화합니다. www.redhat.com 배포 방식에 따른 쿠버 네티스의 필요성 증가 Traditional Deployment(전통적인 배포): 배포 초기에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회사 또는 배포자가 직접 물리 서버를 운영했다. 한 물리 서버에서 여러 애플리케이션의 리소스(자원) 한계를 컨트롤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기 때문에 리소스를 효과적으로.. 2022. 4. 6.
[Docker] Docker 실습으로 알아보기 (2/4) 지난 시간에 dockerfile의 volume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끝으로 포스팅을 마무리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dockerfile의 volume, wordir, 디스크공간의 개념 그리고 네트워크에 대한 개념을 다뤄보겠다. Docker volume 학습하기 1. docker container volume과 바운드 마운트 개념 도커 컨테이너에 사용자가 생성한 데이터는 컨테이너가 삭제될 때 함께 삭제된다. 도커는 컨테이너 안의 파일 변경 사항을 UnionFS을 통해 관리한다. UnionFS은 read-only 이미지 layer와 write 컨테이너 layer를 합쳐 컨테이너의 데이터를 관리하고, 컨테이너 삭제 시 write layer도 삭제된다. 도커에서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컨테이너의 생명 주기와 관계.. 2022. 4. 3.
[Docker] Docker 실습으로 알아보기 (1/4) Docker의 명령어들을 실제로 사용해보며 docker의 작동 메커니즘, 특징 등을 자세히 살펴보는 포스팅을 해보려고 한다. 최대한 비슷한 카테고리로 개념을 분류하여 포스팅하겠지만 내용에 따라 이해에 필요한 부가적인 설명은 구분 없이 정리하여 내용이 복잡해질 것 같다 ㅎㅎ... 1. 가상 환경에 docker 설치하기 * 사전 준비 -linux(red_hat)(운영체제) / VirtualBox(가상 환경 지원) / putty or xshell (가상 환경 접근방법) *docker에 대한 사전 지식 (이전 포스팅 참고) [Docker]Docker는 무엇인가? [이전 글] [가상화와 컨테이너] 가상화와 컨테이너의 차이점 이번 포스팅은 가상화와 컨테이너의 차이점을 다뤄보겠다. 우선 가상화에 대한 개념 혹은 하이.. 2022. 4. 2.
[AWS] Local 환경에서 AWS CLI 사용하기 AWS CLI(Command-Line Interface)란? AWS CLI(명령줄 인터페이스)는 AWS 서비스를 관리하는 통합 도구입니다. 도구 하나만 다운로드하여 구성하면 여러 AWS 서비스를 명령줄에서 제어하고 스크립트를 통해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AWS CLI 시작하기 사전 조건 1) AWS 가입하기 - AWS에 가입하여 Root 계정을 생성합니다. 2) IAM 사용자 계정 생성 - 생성한 Root 계정으로 로그인한 후 IAM 콘솔로 들어가 IAM 사용자를 만들어 줍니다. 과정: 사용자 이름 - Administrator 그룹생성 - Administrators 정책 - AdministratorAccess 3) IAM 사용자의 액세스 키 ID 및 보안 액세스 키 생성 & 저장 - IAM 사용자를 만들.. 2022. 3. 27.
[Openstack] 오픈스택이란? 오픈 스택이란 IaaS형태의 클라우드 컴퓨팅 오픈소스 프로젝트이다. IaaS를 쉽게 구축할 수 있도록 플랫폼을 지원해주며 사용자는 오픈스택의 Dashboard(대시보드)를 통해 프로세싱, 저장공간, 네트워킹 등의 가용자원들을 제어할 수 있다. 여러 배포판이 있으며 6개월에 주기로 새로운 배포판을 릴리스하고 있다. 쉽게 말해 컴퓨터 하드웨어 위에 인프라를 서비스로 제공하여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를 구축하게 해주는 오픈 소스 플랫폼이다. 오픈스택의 구성요소 1. Horizon (Dashboard) 사용자가 오픈스택의 구성요소들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UI 서비스이다. 2. NOVA (Compute) AWS의 EC2, GCP의 Compute Engine와.. 2022. 3.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