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etwork2 [Network] Linux Network Management 오늘 포스팅할 글의 주제는 "Linux Network Management"와 관련된 글이다. 최근 들어 서비스의 환경이 복잡해지며, OS의 네트워크 환경을 이해하는 것이 더욱 더 중요해졌다. 따라서 해당 포스팅을 통해 Linux OS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환경 / 흐름 / 제어에 관련된 내용을 정리하고 살펴보는 시간을 갖으려고 한다. 1. Structure and Checking from Layer 1 to Layer 7 위 그림은 Linux OS에 대한 여러 요소에 대한 성능 측정 시 사용될 수 있는 Tool(*도구)를 정리한 것이다. 해당 포스팅에서는 빨간색으로 강조한 부분인 "Net Device", "IP", "TPC/UDP", "Sockets" 등과 관련된 부분에 대하여 다룰 예정이다. 2... 2024. 10. 13. [Web Docs] 인터넷은 어떻게 작동할까 ? 인터넷은 어떻게 작동할까 일단 2개의 컴퓨터를 네트워크로 연결해보면 아래와 같은 그림으로 연결될 것이다. 그럼 10개의 컴퓨터를 연결하려면?? 몇 개의 선이 필요할까??? 컴퓨터는 개당 9개의 플러그가 필요하고 10개의 컴퓨터에 연결하는 45개의 케이블이 필요해진다. 세상에는 몇억 대의 컴퓨터가 있는데 그렇게 수많은 컴퓨터를 전부 저렇게 연결해야 한다면 너무나도 힘들 것이다.... 하지만 우리에게는 이러한 작업을 단순하게 만들어 주는 장치가 있다. 바로 라우터이다. 라우터는 단 하나의 작업만 수행한다. 바로 연결된 컴퓨터(출발지)에서 보낸 메시지가 올바른 컴퓨터(목적지)에 도착하는지 확인해준다. 그렇다면 더 많은 컴퓨터를 연결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단순하게 생각하자 그냥 여러 컴퓨터가 연결된 라우터끼.. 2022. 2. 22. 이전 1 다음 반응형